보건복지부는 지난 10월, 의료현장에서 사용되는 보건의료용어 표준화를 확산하기 위해 제7차 ‘보건의료용어표준’ 고시를 개정했다고 발표했다. 보건의료용어표준은 의료기관에서 다양하게 표현되는 의료용어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도록 개념화(대표어.동의어)하는 용어체계로서 2014년 9월 이후 매년 개정·고시되고 있으며 진료기록 작성에 필요한 질병, 수술, 검사, 방사선, 치과, 보건 등 보건의료분야 용어 외에도 진료용 그림 및 문진표를 포함하고 있다. 이번 개정에는 용어 코드를 […]
  2023.02  @            필자가 8년간 아랍에미리트에서 근무하는 동안 AI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의료 기기의 발달, COVID-19라는 유례없는 바이러스 대유행 등 세계는 큰 변화를 겪었다. 팬데믹 와중에도 유럽과 중동 지역에서 다국적 방사선사들이 참여하는 국제학술대회는 꾸준히 열렸는데, 최근 3년 동안 발표된 논문들을 분석함으로써 영상의학업계의 세계적인 이슈와 트렌드를 살펴보고자 한다. 
  2022.11  @            딥러닝은 이미 우리 주변에 가까이 닿아 있다. 우리가 매일같이 보고 있는 의료영상에도 딥러닝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의료영상을 연구하는 연구자로서 딥러닝의 모든 것을 다 이해할 수는 없지만 이를 이용하여 더 좋은 의료영상을 만들고 싶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는 와중에 『그림으로 이해하는 비전공자를 위한 딥러닝』이라는 책을 접하게 되었다. ‘그림으로 이해’한다는 접근은 딥러닝에 친근하게 다가갈 수 […]
  2022.11  @            현재 대한민국은 의료접근성이 떨어지는 낙도와 산간 벽지 주민들을 대상으로 원격 진료를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매우 제한적으로 시행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관련 규제, 법적인 문제, 대면 진료의 원칙, 의료수가 문제 등이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것이 ICT 최강국이라 불리는 대한민국의 현실이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로 비대면 진료가 제한적으로 허용되면서 그 범위가 확대되었고, 그 덕분에 현재는 비대면 진료에 […]
  2022.11  @            지난 6월, 질병관리청은 유방 엑스선 촬영 시 환자의 피폭선량을 평가할 수 있는 선량평가 프로그램(ALARA-M)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해당 프로그램은 환자의 피폭선량을 낮출 목적으로 사용자의 활용성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2021년 정책연구용역(21년 정책연구용역 담당자: 경희대학교 김광표 교수)을 통해 개발됐다. 이 프로그램은 ‘주요 유방 엑스선 촬영법(종류)’에 대한 검사 면적을 선택할 수 있고, 유방 엑스선 촬영의 검사 조건을 입력해 피폭선량을 […]
  2022.11  @            1895년 렌트겐선(X선)이 발견되고, 1913년에 국내 최초로 세브란스병원이 미국에서 X선 기계를 도입하여 1914년에 가동하면서, 우리나라에서 방사선검사가 시작되었다. 의학에 이용되는 방사선은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의료에 직·간접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방사선의 이용은 마치 양날의 검을 사용하는 것에 비유되기도 한다. “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방사선은 피폭선량의 잠재적 위험과 동시에 환자가 얻는 이익의 관점에서 이득이 더 큰 경우 사용한다”는 정당성과 “방사선 피폭의 […]
  2022.11  @            미국에서는 방사선사가 아닌 Medical Dosimetry(의학방사선량계측사)라고 지칭되는 미국의 공인 인증 선량계측사가 방사선 치료와 관련된 여러 업무를 수행합니다. 우리나라도 방사선 치료 분야에서 방사선사의 업무 영역이 점점 확장되고 있습니다. 해당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방사선사의 역할이 더욱 요구되는 만큼 방사선사 출신의 의학물리사가 많아진다면 더욱 정확도 높은 방사선 치료가 이뤄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방사선 치료 과정 알아보기 의료기관 방사선종양학과에서 시행하는 방사선 […]
  2022.09  @            예방만큼 중요한 것이 또 있을까?방사선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해 주는 차폐복에 대한 관리도방사선을 이용하는 부서에서는 중요하게 관리해야 할 기본적인 업무 사항이다.구입부터 보관, 관리, 정기적인 점검까지!방사선사가 꼭 챙겨야 할 차폐복 안전 관리에 대해 알아보자. 근본적으로 방사선의 신체적 노출은 최대한 단시간으로 제한하여야 하며, 장시간 노출 시에는 DNA, RNA 및 신체 단백질이 손상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현상은 건강 합병증과 […]
  2022.09  @            올해 경보 발령은 작년보다 2주 가량 빠른 것으로, 이는 부산 지역의 최근 기온이 전년보다 상승한 것이 원인으로 추정되었다.
  2022.09  @            Zoom-in : 무면허 의료 행위 근절 (1) 보기
  202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