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회장 김상현)는 2024년 3월 2일(토) 가톨릭대학교 성의교정 마리아홀에서 ‘제21차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춘계학술대회 및 심포지엄’을 개최하였다. 이날 춘계학술대회 및 심포지엄에서는 ZOOM을 이용한 온라인 방식과 현장 참석 방식을 병행하는 하이브리드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이날 학술대회 및 심포지엄에는 현장참석 279명, 온라인 704명, 총 983명의 회원과 함께 진행되었으며, 회원 연재발표는 총 4부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전문 14편, 초록 8편, 포스터 […]
2024.05 @ 2024년 1월 27일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는 제28차 정기 평의원총회를 LS용산타워 회의실에서 개최하였다. 이날 총회는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전국평의원, 전임회장, 임원, 감사가 참석하여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송창욱 평의원 의장(서울대학교병원)을 추대하였고 성원(총원 50명 중 참석 42명, 위임장 5명, 총 47명)이 되었음을 확인하는 개회 선언으로 시작하였다. ‘2023년 회무 보고 및 재무 보고 결산 의결, 감사보고’와 ‘2024년 사업계획 및 예산 의결, 학회 시행 지침 […]
2024.05 @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회장 김준규)는 2024년 3월 23~24일 건국대학교병원 지하 3층 대강당에서 MRI실에 근무하는 초보자를 위한 입문강좌를 개최하였다. 올해는 물리와 임상을 양일간 진행하여 교육의 집중도를 높여 회원들의 관심을 끌었다. 특히 올해부터는 학회에서 새롭게 변경된 회원 규정에 의해 면허번호를 가지고 있는 방사선사뿐만 아니라 업무를 실제로 하고 있지는 않지만, MR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거나 관련된 업무를 하고 있는 준회원들도 교육강좌에 등록이 […]
2024.05 @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회장 구혜정)는 2024년 3월 2일 오후 3시, 양재동에 위치한 대한방사선사협회 회의실에서 제1차 온라인 보수교육을 개최하였다. 김연민 교육 이사의 진행으로 시작된 이번 교육은 각 병원에서 근무하는 방사선사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ZOOM 웨비나를 통하여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사전에 녹화된 강의 영상을 송출하는 방식과 현장강의를 실시간으로 송출하는 두가지의 대한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전국 각지에서 480여 명의 회원이 참석하였다. 교육은 […]
2024.05 @ 대한군진방사선학회(학회장代 황위섭 항공우주의료원 영상의학과장)는 2024년 5월 1~2일에 걸쳐서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국군의무학교 숭의관에서 24-1기 군진방사선사 직무 보수과정을 개최하였다. 국군의무학교는 대한민국 군대 내 유일한 의무 관련 교육기관으로 늦은 봄의 기운 속에 국방부 산하 국군병원 및 사단 의무대에서 불철주야 근무하는 방사선사 회원들이 참석하여 뜨거운 열기 속에 진행되었다. 대한군진방사선학회는 올해 5번의 보수교육을 국군의무학교에서 진행하고, 2024년 5월 25일 보수교육을 겸한 […]
2024.05 @ 대한방사선과학회(회장 김성철)는 5월 11일 가천대학교 메디컬캠퍼스 간호대학 1층 대강당에서 “첨단 방사선과학 기술의 미래 가치! 방사선과학회로부터!”라는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 대회에서는 국제 세션 및 일반 구연 세션으로 52편의 논문이 발표될 예정이고, 취업 창업 프로그램에서 “눈으로 보는 방사선기술과학의 한국과 일본의 교류”의 주제로 고려대학교 김정민 교수의 특강이 진행될 예정이고, 신진과학자 지원 프로그램에서 “딥러닝 기반 CT 영상의 화질 […]
2024.05 @ 방사선사의 핵종 및 조영제 정맥주사 행위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글 성열훈(청주대학교) 현대 의료기술의 발전은 다양한 보건의료 직종을 창출하였습니다. 그중 방사선사는 사회적 발전과 국민수준 향상으로 맞이할 새로운 시대의 미래인력 대응안을 준비하여 자기 역할의 재정립이 필요합니다. 이에 필자는 방사선사의 핵종 및 조영제 정맥주사 행위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합니다. 우리나라의 방사선사는 1963년 ‘엑스선사’로 법제화되면서 진료용 엑스선 조작 […]
2024.05 @ ‘Radiological Technologist’와 ‘Radiographer’를 각각 공식 명칭으로 사용하는 국가의 협회 이름들을 알아보자. 글 김건중(제15대, 16대 대한방사선사협회장) 세계방사선사회가 있습니다. 한역 명칭은 다양하지만 여기에선 ‘세계방사선사회’로 칭하겠습니다. 영문 이름은 ‘International Society of Radiographers and Radiological Technologists’ (ISRRT)로, 방사선사의 국제적인 조직입니다. 이 조직은 방사선 기술 및 방사선 관련 전문 분야에서 교육, 연구 및 정보 교류를 촉진하고 세계보건기구(WHO)와 협력하면서 각 국가의 […]
2024.05 @ 글 최관우(원광보건대학교) 좋은 논문을 쓰는 일은 기존 연구 결과에 새로운 벽돌 한 장을 쌓아 올리는 일이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 연구에 대한 철저한 문헌고찰이 필수적인데, 왜냐하면 충분한 참고문헌을 통해 기존 연구들의 경계를 파악하다 보면 독창성 있는 연구 주제가 도출되며 핵심연구결과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문헌고찰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채 작성한 논문은 기존 […]
2024.05 @ 책 『AI 2024(트렌드 & 활용백과)』에서 소개하는 다양한 AI 툴을 실제로 사용한 후 평가해 봤다. AI 툴을 잘 활용하면, 우리는 더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하고, 더 많은 지식과 창의력을 얻을 수 있다. 글 심지나(세브란스 병원) 2022년부터 시작된 생성형 AI 광풍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처음에는 chatGPT가 무엇인지에 모두의 관심이 쏠렸다면, 이제는 우리가 어떻게 AI를 쓸 […]
2024.05 @ Q 『방사선사는 이렇게 일한다』의 저자 김진희 선생님, 안녕하세요. 먼저 선생님의 간단한 소개 부탁드리겠습니다.안녕하세요? 저는 분당서울대학교 병원 영상의학과에서 근무하고 있는 김진희입니다. 보통의 대학병원이 그러하듯 로테이션을 통해 일반, CT 파트에서 근무를 했고 현재는 초음파 파트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Q ‘방사선사’라는 직업을 대중들에게 소개하는 첫 출간 서적이 아닐까 싶습니다. 같은 방사선사로서 감사한 마음이 드는데요, 『방사선사는 이렇게 일한다』라는 책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제가 […]
2024.05 @ Q 『나는 행복을 촬영하는 방사선사입니다』 저자 류귀복 선생님, 안녕하세요. 선생님의 간단한 소개 부탁드리겠습니다.안녕하세요. 저의 본캐는 16년 차 ‘치과 방사선사’이고, 부캐는 멸종 위기에 처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 같은 ‘기획출판 출간작가’입니다. 8년 전, 중증 난치질환인 ‘강직성 척추염’을 진단받은 이후로는 환자도 함께 겸임하고 있습니다. ‘잘 지내’의 기준치를 낮게 하면 지금보다 더 행복해질 수 있음을 세상에 전하기 위해 펜을 […]
202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