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김건중(제15대, 16대 대한방사선사협회장) ‘전문방사선사’ 관련 보건복지부에 드리는 제언국민 건강을 최우선으로 하는 보건복지부로부터 전문방사선사 제도화 요청에 부정적이기도 하고 자격기본법에 위반된다는 시정 요청이 있었습니다. 이에 대하여 법적 제도화 요청은 무시되고 발전적인 검토 없이 일방통행을 하고 있어 보건복지부에 6만 방사선사의 의견을 전달합니다. 대한방사선사협회는 전문방사선사를 지난 22년 동안 국민 건강과 방사선 안전을 최우선으로 삼아 시행해 왔습니다. 방사선사의 교육, […]
  2025.09  @            글 김진수(대한방사선사협회 사업•보험부장) 대한방사선사협회의 임원진은 대한실드엔지니어링을 방문했다.1988년 설립되어 36년이라는 역사를 가진 대한실드엔지니어링은단순한 차폐(Shielding) 기술을 넘어 첨단 의료, 정밀 전자, 그리고 국가 안보에 이르기까지,현대 사회의 보이지 않는 영역을 굳건히 지탱하는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대한실드엔지니어링과그 속에서 대한민국의 자부심을 만들어가는 사람들을 소개한다. 대한실드엔지니어링은 36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묵묵히 한길을 걸어왔다.‘전자기파 차폐’라는 특화된 영역에서 독보적인 […]
  2025.09  @            글 김상진(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1. 학회참석태국 치앙마이시에서 지난 6월 4일부터 7일까지 제25회 AACRT(25th Asia-Australasia Conference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제25회 아시아-오스트랄라시아 방사선사 국제학술대회)가 개최되었다. 동시에 제11회 SEARC(11th Southeast Asian Radiographers Conference, 제11회 동남아시아 방사선사 국제학술대회), 제13회 ART(13th Asia Radiation Therapy Symposium, 제13회 아시아 방사선치료 심포지엄), 제33회 TSRT(33th Annual Conference of Thai Society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제33회 태국 […]
  2025.09  @            글 최관우(원광보건대학교) ChatGPT를 이용한 통계분석의 두 번째 시간으로 독립표본 t-검정의 통계분석 방법에 대해 살펴보자.독립표본 t-검정은 두 집단 크기 비교 연구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분석이지만동시에 가장 많이 오해되는 분석이기도 하다. 따라서 연구자는 독립표본 t-검정 적용 시독립성, 정규성, 등분산성이라는 세 가지 핵심 가정이 만족하는지 면밀히 확인한다.이 과정에서 ChatGPT와 같은 AI 도구를 활용하면 시행착오를 줄이고,보다 체계적이고 신뢰성 있는 […]
  2025.09  @            글 김상진(서울대학교병원) 세계화, 정보화 추세에 따라 확대되고 있는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에 참여하고자 하는 학생 또는 운영하고자 하는 병원 등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서울대학교 영상의학과 내 국제 업무팀에서 관리 운영하고 있는 ‘해외 대학생 인턴십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서론2000년대 이후 국제적으로 세계화, 정보화의 추세에 따라 많은 국내 대학교에서는 학생들을 해외 자매대학 내지는 그 외 많은 외국 관련학과 대학교 […]
  2025.07  @            글 최관우(원광보건대학교) ChatGPT를 이용한 통계분석의 단일 표본 T검정의 통계분석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ChatGPT는 연구자들이 통계에 대한 진입 장벽을 낮추고, 통계 개념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유용한 보조 도구이다.그리고 특정 부분에서는 오히려 전문 통계분석 프로그램이 구현할 수 없는 일을 구현한다.그러나 활용에 있어서 결과를 판단하고 책임지는 것은 연구자이기에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확인하는 습관이 병행되어야 한다.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
  2025.07  @            글 김건중(제15대, 16대 대한방사선사협회장) 뢴트겐은 1895년 11월 8일 엑스선을 발견한 후, 그해 12월 22일 아내의 반지 낀 손을 엑스선 사진으로 남겼습니다. 이 한 장의 사진은 ‘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시대’의 서막을 알린 세계 최초의 인체 엑스선 사진으로 기록되고 있습니다.당시의 기록 매체는 투명 유리판 위에 감광 유제를 도포한 ‘유리 건판’이 사용되었습니다. 이렇게 유리로 시작한 엑스선 영상 […]
  2025.07  @            글 김상진(서울대학교병원)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의 발전과 다양한 적용 분야는 우리 일상생활에서 널리활용되고 있다. 특히 의료 영상 분야에 인공지능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방사선학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그 유용성에 대한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인공지능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영상처리 분야는 빠르게 성장 중이며, 그 중요성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판독 보조 시스템이나 영상 보정 시스템 […]
  2025.03  @            만일 첫 방사선사의 수식어를 쓴다면국가 법령에 의한 1965년 첫 국가시험을 치른첫 면허 방사선사 442명으로 기록함이 마땅하다고 생각합니다. 글 김건중(제15대, 16대 대한방사선사협회장) 많은 사람들은 최초, 첫 번째라는 것이 역사적인 기록이기도 하고 흥미로운 일이라 이를 찾으려 노력합니다.최초의 방사선사에 대하여 관심을 갖게 된 것은 방사협보 제395호(2023년 8월)에 실린 ‘우리나라에서 방사선사의 시작은 문헌에 의해 1913년 세브란스의학교 부속병원 외과의 강문집 […]
  2025.03  @            의료분쟁의 사례를 살펴보는 것은 병원에 근무하는 보건의료인의 입장이 아닌사법체계의 객관적인 시각에서는 안전사고를 어떻게 판단하고 이해하며 예방과 대비는어떻게 주문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사례는 영상검사 과정에서 자주 발생하고위해도가 높은 사례로 낙상, 조영제 부작용, MRI 관련 사고로 구성하였다. 글 서영석(계명대학교 동산병원) 1. 들어가며우리가 살아가면서 의도치 않은 많은 사건 사고와 마주하게 된다. 영상검사 과정에서도 다양한 유형의 안전사고가 다수 발생되고 있으며 […]
  2025.03  @            미국 방사선사는 주마다 표기가 달라도 결국 같은 License이다. 글 김건중(제15대, 16대 대한방사선사협회장) 우리나라는 ‘방사선사 면허증’으로 표기하고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제8조 제1항 및 시행규칙 제12조 제3항에 따라 ‘위와 같이 면허합니다’라고 표기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영문 면허증의 영문 표기는 ‘certificate(증명서 또는 면허증)’ 그리고 “This is to certify that the following person is licensed as a Radiological Technologist(아래 […]
  2024.12  @            사단법인 대한방사선사협회 기관지 방사협보 WITH KRTA 400호를 맞이하여엑스선이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무렵부터 2024년까지 회원 간의 소통을 위한회지, 학회지, 소식지, 방사협보 등의 변화를협회사, 30년사, 50년사를 기본으로 하여 정리해 보았다. 글 이창엽(대한방사선사협회 60년사편찬소위원장) 1895을미사변과 엑스선 발견1895년에는 우리에게 잊을 수 없는 2개의 역사적인 날, 즉 10월 8일과 11월 8일이 있다. 1895년 10월 8일에는 고종의 비 명성황후를 포함한 조선인 […]
  2024.12  @